경남문학관

메인메뉴

커뮤니티

서브메뉴

행사안내

행사안내
2006 경남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작성자 munhak
댓글 0건 조회 2,301회 작성일 2006-01-06

본문

'피아노와 플루트

  딸의 방엔 정확히 36년 전 우리집에 실려왔던 검은색 피아노가 지금도 있다.
  2년 전. 마지막 조율을 했을 때 조율사는 이렇게 말했다.


  “이젠 이 피아노에 돈 들이지 마세요. 더 이상 조율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 누더기처럼 입혀진 검은색 칠이 여기저기 벗겨져 낡을대로 낡았고 쇠로 되어 있는 피아노판은 군데군데 선이 끊어진 탓인지 소리 나지 않는 건반이 꽤 있었다. 이렇듯 쭈글쭈글 늙은 피아노는 나와 지금껏 오래된 가족처럼 함께 지내고 있다.


  가끔. 아주 가끔이긴 하지만 난 피아노 만큼이나 늙은 악보를 내놓고 찬송가를 치거나 가곡 반주를 하곤 한다. 그 때마다 온통 검은 피아노는 아직도 하얀 가슴을 열어 건반 위에 손을 올려놓은 나를 유년의 뜰로 안내한다. 내 푸른 나무였던 엄마의 기억으로.

  “주리야. 소녀의 기도 한번 쳐 봐라.” 푸른 리본에 갈래머리를 땋은 약간 새침한 내게 손님이 오거나. 기분이 울적한 날 엄마는 이렇게 말하곤 했다.


  어떤 날은 은파. 어떤날은 스와니 강. 로렐라이언덕…. 그녀의 주문으로 난 그때그때 엄마의 기분을 추측하곤 했다. 그럴 때 그녀의 눈은 아련했다. 그리곤 잠자리 날갯짓 같은 가늘고 떨리는 음성으로 조용히 노래를 부르던 엄마였다.

  그 피아노가 집에 처음 들어오던 날 나는 여덟 살이었다.


  여섯 살 때 처음 피아노를 시작했는데 키가 작아 건반이 가슴 높이까지 오자 피아노 의자에 방석 두개를 깔고 연습을 시작했다. 비가 오거나 눈이 올 때 열이 나거나 놀고 싶을 때 어지간히 집에 있는 도우미 언니를 괴롭히며 연습을 했었다. 도우미 언니와 함께 피아노 레슨 받으러 가는 길은 너무 멀었고. 다른 애들 모두 고무줄놀이나 공기치기 사방치기 등 너무도 재미있게 놀이에 열중한 시간에 나만 레슨 받으러 가는 일은 내게 있어서 순간순간의 놀고싶은 욕구가 부인되어야만 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엄마는 공놀이라든가 오재미라는 일종의 콩주머니를 만들어 놀았던 놀이는 하지 못하게 했다. 손을 다치면 피아노를 칠 수 없다는 이유였다.

  내가 꽤 명곡이나 소품들을 쳐내고 있었을 때 엄마의 입버릇은
  “우리 주리 피아노를 사줘야 할텐데”였다.


  그러나 넝쿨장미가 있는 집을 장만하느라 두 사람 월급의 반이 대출금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엄마의 소망은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때마다 아빠께서는
  “서정희가 맘먹은 일이 어디 안된 때가 있었나?”
  하며 반은 위로로 반은 안타까움으로 대답하곤 하셨다.

  그러던 어느날 엄마와 아빠가 큰소리로 싸우셨다.
  아빠는 원래 목소리가 크시지만 엄마는 좀처럼 소리를 높이는 법이 없었다.


  “늬 아빠는 이름 자체가 울리는 종(鐘鳴)이라서 목소리가 큰가 봐” 하며 양반의 자손은 입 밖으로 쇳소리가 나면 안된다는 말을 입버릇처럼 했던 엄마였다. 그 때문에 그 당시 사건은 참 잊을 수 없는 사건이었다. 이유인즉 엄마가 결혼 때 아빠가 해주신 백금반지를 비롯. 그 후에 생일날에 선물한 보석목걸이. 외국에서 외삼촌들이 사다준 것 등 패물들을 아빠와 한마디 상의도 없이 몽땅 팔아버렸다는 것이었다.


  “그래. 그 돈을 어디에 쓰려고 한 거야?”
  여전히 화가 난 음성으로 아빠는 엄마를 다그쳤지만 엄마는 완강히 입을 다물었다.
  “나쁜짓에 쓰려한 건 아니니 걱정 말아요” 하고 조용히 말했을 뿐.

  그리고 며칠 후 그 검은 피아노가 내 방에 놓여졌다.
  나는 그녀가 피아노를 어떻게 마련했는지 지금도 모른다. 다만 추측할 뿐이다.


  유난히 보석 욕심이 많은 엄마였다. 넉넉지 않은 살림에서 어렵게 마련한. 그리도 아끼던 자기 소유의 모든 것을 팔고 남편으로부터 많은 의혹과 다그침을 받아도 좋을 만큼 그녀는 내게 피아노를 사주고 싶은 마음이 절실했었을까.

  엄마는 내게 푸른 나무였다. 제게 딸린 잎과 줄기를 다 내어주고. 열매를 맺으면 과실을 내어주고. 마지막 수액조차 나눠주고. 훗날 가지가 잘린 빈 그루터기만 남아도 기억에 기대어 앉아 쉴 수 있게 하는 아낌없이 주는 그런 나무였다.

  몇 년 전 딸이 플루트 배우기를 원했다.


  딸의 음악성은 칭찬에 인색한 나도 감탄할 때가 많다. 아이는 제 친구가 학원에서 플루트를 배우는데 옆에서 지켜보다가 운지법 등 나름대로 플루트 연주법을 터득해 버린 것이다. 또한 음악을 들으면 바로 피아노로 옮기고 플루트로도 옮긴다는 것이었다. 어느 날 음악학원 선생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어머니. 예원인 뛰어난 음악성을 가지고 있어요. 피아노도 그렇지만 피아노보다 플루트에 어쩌면 더 소질이 있는 것 같아요. 소질은 노력한다고 다 가질 수는 없는 거에요. 예원이의 재능이 아까워서요. 플루트도 정식으로 배우게 해주세요 일주일에 두 번 플루트 선생님이 저희 학원에 오신답니다.”

  하지만 암담했다. 돈이 없었기 때문이다. 잠이 오지 않았다.
  부끄럽지만 난 서른여덟이 될 때까지도 돈이란 그냥 존재하는 건지 알았다.


  어릴 적엔 그런 열성을 가진 엄마와 성실한 아빠 덕에 돈 걱정이란 것을 대학 졸업할 때까지 해보지 못했고. 시골 고등학교 교사 시절 내 월급은 옷을 사거나 예쁜 목걸이나 구두를 사거나 읽고 싶은 책을 사는 것으로 소비되곤 했다. 결혼 후 유학시절 가난이 재미있었을 만큼 철부지 아내. 그동안 제손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의식조차 하지 못할 만큼의 아내를 먹여살리느라 애 아빠도 어지간히 애썼다는 생각이 처음으로 들었다.


  그러나 그 후 완전히 맨몸으로 가족의 생계를 떠받쳐야 할 상황이 내게 소리없이 다가왔고. 딸이 플루트를 갖기 원했을 때는 그 가난의 복판에 있었던 때였다.

  그러던 어느 날 퇴근길. 딸이 다니는 피아노 학원에서 나오는 생전 처음 듣는 소리를 들었다. 가느다란 풀피리 소리 같은 것이 때론 흐느끼기도 하고 때론 머리를 풀고 통곡을 하기도 했다. 한참 소리에 취해 가만히 듣고 있는데 계단에서 한 떼의 아이들이 몰려나왔다. 딸은 오른손에 검은 케이스의 플루트를 들고 있었다.


  “유미야. 나 오늘만 우리 집에 갖고 가서 이거 한 번 해보면 안돼? 내일 갖다줄게.” 그러자 “안돼!” 하며 채가듯 가져가는 친구의 뒷모습을 한참 바라고고 있는 딸의 어깨를 보았다. 눈물이 흘렀다. 그리고 결심했다. 딸에게 플루트를 사 주자. 하지만 어떻게?

  엄마도 그랬을까?
  아빠에게 그렇게도 다그침을 받고 빠듯한 월급생활을 하면서 달리 사 줄 방도가 없었을 때 내게 피아노를 사주고 싶었던 엄마의 마음이 꼭 그랬을까?


  그날부터 나는 내게 값나가는 것이 있나 생각해 보았다. 야마하 플루트를 사주려면 육십만원이 필요했고. 레슨비가 한달에 십오만원….
  지금 생각해 보면 그리 간단히 지출할 것 같진 않은 액수였지만 그래도 카드 할부 등 다른 방법들이 얼마든지 있으므로 그때만큼 많은 갈등을 했을 것 같지 않은 금액이었지만. 그때 내겐 도저히 불가능한 큰 돈이었다.


  죽고 싶었다. 생각 끝에 내게 남아있는 패물들을 팔기로 했다. 전에 내게 있던 값나가는 패물들은 새로운 교회를 지으며 헌금함에 모두 넣었었다. 비교적 돈에 후했던 애 아빠였지만 교회 짓는데 헌금한다고 하면 도저히 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에 미련없이 헌금함에 내가 가졌던 값나가는 패물들을 넣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니 남아있는 것이라곤 애들 돌이나 백일 때 받았던 금반지와 애아빠에게 선물로 받았던 목걸이. 팔찌 이런 것들 뿐이었다. 보석가게에 전화로 가격을 알아보며 평소에 내가 아끼던 예쁜 목걸이들은 18k였기 때문에 별로 돈이 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아마 내게 금이빨이 있었다면 그것도 보탰을 것이다.

  문제는 내게 남아있던 패물들을 파는 방법이었다. 가난하지만 자존심을 벗어던지지 못한 탓에 근처에 있는 보석가게 앞에서 몇 번이나 발길을 돌리곤 했다. 아파트 상가에서도 다 내 얼굴을 알고 있는데 보석가게 주인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101동 1414호 말이에요. 그 집 참 잘살더니 요즘 형편이 말이 아닌가 봐. 그 집 금 팔러 왔더라구요” 하며 다른 여자들에게 말할 것도 같고


  “왜 이렇게 예쁜 패물들을 팔려고 하세요?” 하고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하나 많은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물어 금과 패물들을 팔려고 가게 앞까지 갔다가 되돌아온 것이 몇 번이었던가.


  드디어 버스를 타고 멀리 가서 생면부지의 보석가게에 그것들을 팔고 돌아오는 내 등에선 식은땀이 흘렀다.

  그래도 십오만원이 부족했다.
  이걸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 나는 그 생각에만 골몰했다. 옛날 같으면 하룻밤 외식비만도 못한 돈이었다. 친척이 우리 집에 오면 생각 없이도 차비라며 호주머니에 찔러주던 돈이었다. 그런데 그 십오만원을 구하지 못해 플루트를 살 수 없다니 나는 입술을 깨물며 죽고 싶었다.

  갑자기 상황이 나빠졌어도 친정식구들에게 단 한 번 손을 벌려본 일이 없었다. 다만 가끔 아빠께서 어둡고 안타까운 얼굴로 찾아와서는 용돈이라며 몇십만원씩 주고 가시곤 했다.


  아빠께 말씀드려 볼까 생각했지만 차마 입이 떨어지지 않았다. 며칠 전 아빠께서 내 옷이 맘에 걸리셨던지 극구 괜찮다고 했는데도 코아백화점에서 옷을 사주고 가셨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날부터 나의 자존심과 딸에게 플루트를 사주고 싶은 마음이 줄다리기 하기를 며칠. 난 굳은 마음을 먹고 동생을 찾아갔다.
  “내가 꼭 쓸 일이 있어서 그러는데 십오만원만 빌려 줄래?” 하고 말하자 외출하려던 동생은 아주 바쁘다는 듯 “십오만원? 알았어. 근데 언니야. 그런다고 십오만원도 없냐?”
  동생에게 십오만원을 받아오는 길에 난 무지하게 울었다. 길거리 가는 사람들이 날 혹시 미친 여자가 아닌지 유심히 쳐다보며 지나갔다.

  딸은 그 플루트를 그 후 약 1년 정도 열심히 하더니 중학교에 가서부턴 시들해졌는지 구석에 쳐박아두고 있다. 그래도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진 가끔 엄마가 내게 곡을 주문했듯 나도 딸에게 비발디의 <사계> 중 겨울의 애절한 선율과. 대중가요인 <마법의 성> 같은 것을 주문하곤 하면 두말 않고 엄마의 주문을 행복한 얼굴로 연주해 주더니 고등학교에 들어가고부턴 밤 12시나 귀가하는 평일엔 물론 휴일에도 “귀찮아!” 하며 노골적으로 말하며 잠을 자버리곤 했다. 공부하느라 늘 잠이 부족한 딸을 이해는 하지만 그때마다 나는 너무 섭섭해서 가슴이 저리곤 했다.

  오늘도 나는 검은색 피아노와 은빛 플루트를 바라본다.


  엄마에게 있어서 모든 것이었던 나. 내게 있어서 생의 모든 것이었던 딸. 딸의 딸. 그 딸의 딸…. 그렇게 세월이 흘러서도 내 엄마의 삶과 나의 삶이 증표로 남아있는 피아노와 플루트는 다른 형태로 존재할 것이고. 세대가 거듭되어도 마음 속에 여전히 엄마의 생은 그 딸의 가슴 속에 푸른 나무로 기억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끝>

▲1961년 전주출생 ▲전주노동부 종합고용안정센터 근무
'

행사안내 게시물 목록

Total 375건 18 페이지
행사안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5 운영위 2109 2006-08-21
34 munhak 3113 2006-06-08
33 munhak 2824 2006-05-12
32 munhak 2397 2006-05-10
31 munhak 2385 2006-05-03
30 munhak 2815 2006-04-21
29 munhak 2384 2006-04-06
28 munhak 1926 2006-01-06
27 munhak 2759 2006-01-06
26 munhak 2533 2006-01-06
열람중 munhak 2302 2006-01-06
24 401107 3181 2005-07-11
23 401107 3317 2005-07-11
22 401107 3052 2005-07-11
21 401107 2963 2005-07-11
20 401107 3593 2005-07-11
19 401107 3631 2005-07-11
18 401107 4139 2005-07-11
17 401107 2972 2005-07-11
16 401107 3516 2005-07-11

행사안내 게시물 검색

하단카피라이터

경남문학관 / 주소. 경남 창원시 진해구 진해대로 311(구. 태백동 산 98-1번지)
Tel. 055-547-8277, 8279 / Fax. 055-547-8278 / E-mail. knmunhak@hanmail.net
Copyright ⓒ Gyeongnam Literatur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