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문학관

메인메뉴

경남문인

서브메뉴

경남문단·문인 동정

경남문단·문인 동정
이우걸 시조시인-『네 사람의 노래』출간
작성자 경남문학관
댓글 0건 조회 2,816회 작성일 2012-02-07

본문

중앙일보] 입력 2012.02.07 00:20 / 수정 2012.02.07 00:24

윤금초·박시교·이우걸·유재영 시인 『네 사람의 노래』 출간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한국의 대표 시조시인 넷이 29년 만에 공동 시조집 『네 사람의 노래』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유재영·윤금초·이우걸·박시교 시인. [강정현 기자]

말하자면, 이 네 사람은 ‘문제적’ 예인(藝人)이다. 1983년 윤금초(70)·박시교(67)·이우걸(66)·유재영(64) 시조 시인은 『네 사람의 얼굴』이란 공동 시조집을 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33번’이란 타이틀이었다. 현대 문학에 기울어져 있던 문학과지성사(문지)가 전통 문학인 시조집을 펴낸 것부터가 문제적이었다.

 그러나 당시 네 사람이 제기한 문제를 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당시로선 고작 마흔 안팎이었던 청년 시인들은 이런 질문을 던졌다. “시조가 죽어간다. 고루한 옛 시조 대신 현대적인 시조를 써야 하지 않겠는가.” 이를테면 『네 사람의 얼굴』은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이었다.

 그리고 29년이 흐른 오늘, 우리는 또 하나의 문제적 시조집을 받아 들었다. 어느덧 노(老) 시인이 된 네 사람이 29년 만에 공동 시조집 『네 사람의 노래』(문학과지성사)를 엮었다. 『네 사람의 얼굴』의 후속 격인 작품집이다.

 사실 29년 전 나온 『네 사람의 얼굴』은 시조 시인 지망생들 사이에선 ‘교과서’로 통한다. 현대 시조의 네 가지 경향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다. 이번에 엮인 시조집에서도 그런 네 갈래의 경향성은 또렷하다. 정통 시조 형식을 전복하거나(윤금초), 섬세한 서정을 노래하고(박시교), 시대상을 담아내는가 하면(이우걸), 정형을 지키면서도 현대적 감성을 끌어안는(유재영) 식이다.
 
 1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조촐한 출간 기념 모임이 열렸다. 네 명의 시인과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정과리, 문지 홍정선 대표 등이 둘러앉았다.

 “여전히 시조를 써야 하는 이유에 대해 이번 시조집이 답을 줍니다. 최후의 형식을 지키는 것을 통해 절제를 실천하면서도 무한한 자유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정과리)

 “정형 속에서 자유를 누리는 게 요체입니다. 네 사람의 작품이 어떤 틀을 공유하면서도 다채롭게 읽히는 것은 그 때문이죠.” (윤금초)

 요상한 말의 조합이다. 지금 네 명의 시인은 “시조라는 형식에 구속받음으로써 더 자유로운 문학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려는 참이다. 다음 시조가 그 주장의 한 근거가 아닐까 싶다.

 ‘하 무더운 한여름 밤 네댓 아낙 놀러왔지.//대흥사 피안교 밑 으늑한 개울가의, 밀추렴 반지빠른 마흔 뒷줄 아낙들이 푸우푸 멱을 감았지//(…)//휑허니 도둑맞은 드키 속이 저리 비었대.’ (윤금초, ‘대흥사 속 빈 느티나무는’)

 이 시조에서 시조의 원래 형식을 지키는 건 종장의 첫 세 음절 ‘휑허니’ 정도다. 전통 시조의 흔적이 거의 없다. 그런데 최후의 정형인 종장 첫 음보 덕분에 시조 특유의 긴장과 탄력이 살았다. 최소한의 구속이 이끌어낸 미학적 성취랄까.

 네 명의 시인들은 “이번 시조집은 누구에게도 공짜로 선물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시조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 늘어나 죄다 서점에서 시조집을 사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들은 “이번 시조집이 또 다른 전범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이 문제적 예인들은 여전히 우리 문단에 묵직한 문제(question)를 제기하는 중이다.




가슴이 따뜻한 세상
초록영혼 ^*^

하단카피라이터

경남문학관 / 주소. 경남 창원시 진해구 진해대로 311(구. 태백동 산 98-1번지)
Tel. 055-547-8277, 8279 / Fax. 055-547-8278 / E-mail. knmunhak@hanmail.net
Copyright ⓒ Gyeongnam Literature. All Rights Reserved.